[김대호의 경제읽기] 日 수출규제 1년…한일 산업 영향은?<br /><br /><br />일본이 반도체 핵심 품목 세 가지에 대한 수출규제를 시행한 지 1년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우려와 반대로, 수출 규제가 우리 기업의 성장과 소재부품장비 국산화를 이뤄내는 전화위복의 계기가 됐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수출규제 1년, 평가와 과제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스타항공 창업주 민주당 이상직 의원이 이스타항공 가족 소유 지분을 내놓겠다고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그간 제주항공과 인수 합병에서 가장 큰 걸림돌이던 체불임금 문제 해결을 위해 강수를 던진 건데요.<br /><br />이스타항공 어떻게 될지, 에서 살펴보겠습니다<br /><br /> 일본이 우리 기업들을 상대로 수출규제를 한 1년 동안 한일 양국 산업에 적지 않은 변화가 있었습니다, 가장 큰 영향 뭐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문재인 대통령은 "일본의 수출 규제가 전화위복의 계기가 됐고 소재·부품·장비의 국산화를 앞당기는 등 성과를 만들었다"고 강조했습니다. 국내 일부 반도체 소재 업체의 주가가 두 배 이상으로 급등하기도 했죠? 하지만, 아직 수출규제 품목 중 하나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는 일본 수입 비중이 90%를 넘는데, 국산화가 진행되고 있나요?<br /><br /> 일본 언론도 수출규제로 피해받은 건 오히려 일본기업이라고 잇따라 보도했죠? 실제 일본 내부 반응은 어떤가요? 최근 한일관계 개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는데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일본은 주요 7개국, 즉 G7 정상회의를 확대해 한국을 참여시키는 구상에 대해 반대 입장을 미국에 전하는가 하면 한국산 탄산칼륨 덤핑판매 조사에 착수하고 우리 정부의 분쟁 해결기구 패널 설치 요청도 반대한 상황인데요. 이런 반응을 보면, 긴장하고 있다는 게 감지되는데, 뭘 우려하고 있는 겁니까?<br /><br /> 국제무대 전방위에서 한일 갈등이 불거지고 있는데요. 갈등이 본격화해 일본이 이면에서 여러 수단을 동원해 영향력 행사를 시도하지 않겠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. 과거에도 이런 사례가 있었습니까? 우리 정부, 어떻게 대처할까요?<br /><br /> 이스타항공 창업주, 더불어민주당 이상직 의원이 자녀들이 소유한 이스타항공 지분을 내놓겠다고 발표했습니다. 급작스러운 건데, 배경 있습니까?<br /><br /> 회사에 헌납하기로 한 이 의원 가족의 이스타 항공 지분 규모가 꽤 큰 거로 알려져 있는데, 정확하게 어느 정도입니까?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 인수를 추진하고 있는데, 왜 빠져 있는 거죠? 이번 결과가 M&A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?<br /><br /> 이 의원 발표에 대한 제주항공이 공식 입장을 내놓은 적이 있습니까? 이 의원 측 회견에 대해 제주항공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는데 이스타항공 운명, 어떻게 전망하시나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